명도소송 강제집행 비용 계산 방법 | 예납·집행관 수수료·현장 실비 한 번에 정리


2025-10-02 12:02
27
0
본문
명도소송 강제집행 비용 계산 방법, 핵심만 정리
예납 항목부터 집행관 수수료, 열쇠공·운반·보관료 같은 현장 실비까지. 실제 진행 흐름에 맞춰 단계별로 확인하세요.
부동산·민사 전문(대한변협 등록)
『명도소송 매뉴얼』 저자 직접 진행
누적 7,000+ 부동산 소송 경험
1. 전체 구조 한눈에
예납
집행관 수수료
열쇠공·운반·보관
현장 인력·여비
추가 일정 변경
인지대·송달료 등 법원 납부
현장 진행에 따른 실비
관할·면적·물량에 따른 변동
2. 예납 항목(소송 단계)
인지대 — 청구가액 기준으로 산정하며, 사건 규모가 클수록 증가합니다. 명도 청구의 가액은 통상 목적물의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송달료 — 송달 횟수·당사자 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피고가 여러 명이거나 반송이 잦으면 추가 납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집행문·확정증명 등 — 판결 확정 후 강제집행을 위해 필요한 서류 발급 비용이 소액 발생합니다.
3. 강제집행 단계의 비용 구성
집행관 수수료 — 법원 규정에 따른 기본료와 현장 처리 범위(인도·유체동산 처리 등)에 따라 정해집니다. 관할·거리·집행 범위가 넓을수록 총액이 커질 수 있습니다.
열쇠공 비용 — 잠금장치 해제·교체가 필요한 경우 발생합니다. 건물 유형(아파트·상가·창고)과 시공 난이도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운반·보관료 — 유체동산을 외부로 반출·임시 보관할 때 드는 실비입니다. 물량(가구·비품·재고), 거리, 보관 기간이 변수입니다.
현장 인력비·여비 — 집행관 보조 인력 투입, 차량 배차, 추가 출동(재집행·추가 계고) 시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계산 순서(실무 흐름)
① 사건 가액 확정 → 인지대 산정 : 대상 부동산의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가액을 정하고, 이에 따라 인지대를 계산합니다.
② 송달료 예납 : 피고 수·예상 송달 횟수로 예납하고, 부족 시 보정합니다.
③ 판결 확정 후 집행 준비 : 집행문·확정증명 발급, 필요 시 인도명령 절차를 점검합니다.
④ 집행관과 사전 협의 : 예상 일정·필요 인력·차량·보관 창고 유무를 확인하여 수수료·실비 견적의 범위를 확인합니다.
⑤ 예납 및 일정 고정 : 집행관 안내에 따라 수수료와 현장 실비를 예납하고, 계고 후 집행일을 확정합니다.
5. 금액이 달라지는 주요 변수
점유 형태 — 거주·영업·창고 등 용도와 점유 인원, 반출 물량.
면적·층고·접근성 — 엘리베이터 유무, 진입 동선, 야간 집행 여부.
관할 거리 — 집행관 사무소와 현장 간 이동 거리·시간.
재집행 위험 — 계고 불응·추가 출동 발생 시 비용 누적.
6. 비용 절감 팁(합법·안전 중심)
사전 촬영·목록화 : 유체동산 물량을 사진·리스트로 정리해 반출·보관 계획을 명확히 합니다.
보관 창고 사전 확보 : 임시 보관 장소를 미리 정하면 현장 대기·왕복 비용을 줄입니다.
열쇠 교체 범위 확정 : 해제만 필요한지, 교체까지 필요한지 미리 점검합니다.
집행 일정 일괄 확정 : 계고→집행을 한 흐름으로 잡아 추가 출동을 최소화합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