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연구자료]월세명도소송, 월세 미납 세입자에 대한 법적 조치의 모든 것


본문
계약 기간 중 월세가 밀리고, 임차인이 협조하지 않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해결책 중 하나가 월세명도소송이다. 월세를 체납한 채 거주를 계속한다면 임대인은 물론 임차인에게도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 이때 법원의 명령을 통해 점유를 되찾는 절차를 밟는 것이다.
월세명도소송은 명도소송기간에 영향을 크게 받는 소송 형태 중 하나다. 임차인이 여러 변명을 내세워 시간을 끌거나, 송달 절차를 피하는 등 대응이 복잡해질 경우 소송이 길어질 수 있다. 상가 명도소송이나 부동산명도소송과 달리, 주거용 건물일수록 거주 문제와 직결되므로 실제로는 합의를 통해 해결하는 편이 더 빠를 때도 있다. 그렇지만 월세 체납 기간이 장기화되면 임대인에게 경제적 피해가 크므로, 소송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송을 진행하기로 마음먹었다면, 반드시 해당 세입자의 체납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해야 한다. 명도소송절차에 제출할 월세 영수증, 계좌이체 내역, 임대차계약서 등을 꼼꼼히 준비하면 법원에서 소송 인용 결정이 나오기까지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건물명도소송, 명도소송강제집행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니, 소송 초기부터 전 과정에 대한 대략적인 계획을 세워두는 편이 유리하다.
월세명도소송을 진행하는 도중에도 임차인과 대화를 시도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 필요하다면 전문가가 무료상담을 지원해주기도 하므로, 상대방에게 이 사실을 전달하고 합의나 이사 협의가 가능한지 확인해볼 수 있다. 다만, 합의가 이뤄지지 않거나 임차인이 일방적으로 약속을 어긴다면,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판결과 명도집행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월세명도소송은 소송 비용과 시간이 만만치 않지만, 때론 불가피한 선택이다. 체납을 감수하고 방치하다가 더 큰 손실을 보는 것보다는, 초기에 신속한 법적 조치를 고려하는 편이 낫다. 다만 소송 결과가 나와도 실제 퇴거 과정은 별도의 강제집행 절차가 필요하니, 이를 염두에 두고 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