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소송 강제집행정지신청, 언제·어떻게 해야 할까? (법도 명도소송센터)
본문
임대차기간 만료·월세 연체·무단점유로 인도를 앞두고 있는데, 상대방 신청으로 절차가 멈출까 걱정되는가. 핵심은 요건 충족 여부·담보·결정 속도다. 아래 순서대로 확인하면 불필요한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왜 ‘정지’가 문제를 키우는가
집행이 멈추면 점유 회수 일정이 흔들리고, 공실 기간만큼 현금 흐름이 나빠진다. 또한 대체 임차인 계약, 인테리어 일정 등 후속 계획이 연쇄적으로 지연된다. 그래서 신청이 제기되면, 즉시 요건 충족성 반박과 담보 규모에 대한 의견을 준비하는 편이 안전하다.
- ①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 주장에 사실관계 대비가 되어 있는가
- ② 승소가능성 판단 근거가 구체적인가(계약·통지·연체 등)
- ③ 법원이 요구하는 담보 제공의 적정 수준을 다투는 자료가 있는가
개념과 기준, 먼저 정리
여기서 말하는 강제집행정지신청은 인도 집행을 일시 중단해 달라는 취지의 절차다. 보통 불복 진행과 연동되며, 법원은 손해의 회복 곤란성, 본안의 승소가능성, 형평성 등을 종합한다. 정지 여부가 갈리는 지점은 대부분 사실과 증거의 구체성이다.
진행 순서: 준비 → 신청 → 대응
준비 서류(예시)
- 임대차계약서, 갱신/해지 통지 자료, 연체 내역 정리표
- 판결문·집행문 정본 사본, 집행 개시 관련 통지
- 점유 상태 및 손해 관련 자료(사진·출입 기록 등)
- 담보 관련 의견서 초안(산정 근거 포함)
기간과 비용의 감각
사건 성격과 법원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신청 대응이 신속·구체적일수록 불필요한 지연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비용 역시 난이도·증거 상태에 의해 달라진다.
현장 실행력까지 이어지는 진행
센터는 명도 내용증명 → 점유이전금지가처분 → 본안 소송 → 인도 집행까지 한 흐름으로 연결한다. 필요한 경우 집행 동행과 열쇠 인수 등 현장 대응을 지원한다. 복잡한 주장 구조, 촉박한 일정에서도 증거 중심으로 대응 동선을 설계한다.
지금 가능한 일
- 판단이 가장 애매한 요건·담보 부분 즉시 점검
- 상대방 제출서류 대비 반박 포인트 사전 구성
- 집행 일정 재가동을 위한 후속 캘린더 수립
자주 놓치는 포인트 5
- 상대방의 손해 주장을 ‘추상적 표현’으로만 받아 반박 자료를 빠뜨림
- 타이밍을 놓쳐 집행 일정 전체가 밀림
- 담보 산정에 대한 의견서를 준비하지 않아 과다 조건이 붙음
- 증거 묶음이 시간 순으로 정리되지 않아 설득력이 약해짐
- 결정 후 조건 이행 여부를 추적하지 않아 다시 지연 요인이 생김
바로 시작하려면
방문 없이 전화만으로 선임 가능하며, 전국 어디서나 진행한다. 단계별로 필요한 서류 목록을 안내하고, 케이스별 전략을 간단 상담에서 먼저 제시한다.
정리
정지 여부는 결국 사실관계의 구체성과 담보의 적정성에서 결정된다. 지금 손안의 자료를 시간 순으로 묶고, 요건별 반박 포인트를 정리해 두면 결과가 달라진다. 필요한 때에 정확히 대응하겠다.
※ 본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구체 사건은 무료 전화상담을 통해 사실관계 확인 후 안내됩니다. (상담시간 평일 10:00–18:0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