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 계약서 제대로 쓰는 법|주택·상가 체크리스트 12가지 & 무료 상담


본문
임대차 계약서, 틀리면 분쟁이 시작됩니다 — 주택·상가 한 번에 끝내는 체크 12가지
임대차 계약서 하나가 보증금, 차임, 원상복구부터 갱신·해지까지 모든 분쟁의 기준이 됩니다. 특히 임대차 계약서 작성방법과 특약은 사후 대응 비용을 좌우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로 임대차 계약서를 정리하고, 필요한 경우 법도 명도소송센터의 무료 상담으로 케이스별 해법을 받아보세요.
임대차 계약서 핵심 요약
필수 항목(주택·상가 공통) — 당사자·목적물 표시, 기간, 보증금과 차임(지급일·계좌), 관리비·공과금 부담, 수선의무, 원상복구 기준, 중도해지·위약 조항, 분쟁 해결 절차. 임대차 계약서 양식을 쓰더라도 각 항목을 실제 사용 상태에 맞게 보완해야 합니다.
주택 포인트 — 확정일자와 전입신고를 통한 대항력·우선변제권 확보, 임대차 신고(해당 시), 전세·월세 별 보증금 반환 절차와 지연이자 기준을 임대차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합니다.
상가 포인트 —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가능 기간,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차임 증감, 사업자등록·점유 요건 등은 상가 임대차 계약서에 구체 표현이 필요합니다.
특약 설계 — 반려동물·인테리어·간판·주차·시설비, 전대/양도 제한, 원상복구 범위(도면·사진 첨부), 하자 통지·수리 기한, 관리비 체납 시 처리 등을 임대차 계약서 특약으로 분명히 합니다.
주택·상가 임대차 계약서, 이렇게 작성하면 안전합니다
첫째, 금액과 기간은 숫자와 한글을 병기하고(예: 금 오천만원(₩50,000,000)), 차임 지급일과 지연이자, 보증금 반환 기한을 임대차 계약서 작성방법에 따라 통일된 형식으로 적습니다. 둘째, 관리비 항목과 범위를 열거해 분쟁을 막고(전기·수도·난방·인터넷·주차 등), 공과금 정산 기준일을 명시합니다. 셋째, 원상복구 기준은 입주 전 촬영 사진·체크리스트를 첨부하고, 수선의무(누수·전기·보일러 등) 분담을 정합니다. 넷째, 갱신·해지·해지통고 기한을 분명히 하고, 묵시적 갱신을 피하려면 만료 6개월~1개월 전에 문자·내용증명 등 서면 통지를 권합니다. 다섯째, 상가의 경우 권리금 협의 범위·절차를 문장으로 남겨 불필요한 오해를 줄입니다.
체크리스트 12가지
실명·연락처·대리권 증빙을 확인합니다.
동·호수, 면적, 집합도면(상가: 호실·전용/공용) 기재.
시작·종료일과 인도·반환 시간, 열쇠 인수 방법.
계좌, 지급일, 지연이자·연체 처리.
항목·정산 기준일 명시.
경미·중대 하자 구분, 통지·수리 기한.
마감재·설비 목록, 사진·동영상 첨부.
허용 범위·사전 동의·위반 시 조치.
통지 기한, 중도해지 사유·위약금.
확정일자·전입신고·임대차 신고(해당 시).
계약갱신요구권, 권리금 회수기회, 차임 증감.
조정·합의 절차, 관할 합의 문구.
왜 지금 점검해야 하나
임대차 계약서 한 줄의 모호함이 보증금 반환 지연, 차임 인상 분쟁, 원상복구 범위 다툼, 상가의 권리금 문제로 이어집니다. 계약 체결 전 10분 점검으로 사후 비용을 줄이고, 체결 후에는 확정일자·전입신고(주택)나 사업자등록·점유 요건(상가)을 바로 챙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어려운 조항은 법도 명도소송센터의 사례 기반 안내를 활용하십시오.
전문가 진행 — 의뢰가 접수되면 사건은 전담 변호사 1인이 책임 진행합니다. 특히 엄정숙 변호사(『명도소송 매뉴얼』 저자, 부동산·민사 전문)가 직접 케이스를 이끕니다. 선임 시 점유이전금지가처분 0원, 내용증명 0원을 원칙으로 하며, 선임료 200만원부터(사건 난이도·증거 상태에 따라 상이) 투명 안내합니다. 강제집행은 별도 계약입니다.
알림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