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야, 내 전세금은?!"…계약 안 끝났는데 집주인 바뀌었다면 > 언론속법도명도

본문 바로가기

언론 속 법도명도

보도일

2021.12
07

본문

원문 전체보기(새창)



[일부 미리보기]

[땅집고] “전셋집에 살고 있는데, 임대차계약 기간이 끝나기 전에 집주인이 바뀌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럼 제 보증금은 기존 집주인에게 받아야 하나요, 새로운 집주인에게 받아야 하나요?”


집주인이 전세 세입자를 들인 집을 매도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 경우 세입자 입장에선 집주인에게 맡겼던 전세보증금이 걱정될 수밖에 없다. 계약 기간이 끝났다면 기존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돌려받으면 되지만, 계약 기간이 채 끝나지도 않은 상황에서 집이 팔렸다면 기존 집주인과 새 집주인 중 누구에게 보증금을 받아야 하는지 헷갈리게 되는 것.


부동산 전문 변호사들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새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받으면 된다”며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전세금 반환 소송으로 권리를 찾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4항은 ‘임차 주택의 양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양수인, 즉 새 집주인이 곧 임대인이 되기 때문에 세입자의 전세금을 돌려줄 의무도 함께 가진다는 뜻이다.


만약 새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전세금반환소송을 해야 한다. 이때 승소 관건은 정상적으로 해지되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임대차계약서, 등기부등본, 확정일자, 계약 과정에서 집주인과 주고 받았던 이메일·문자메…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